수학으로 배우는 파동의 법칙 – 정리

[1] 큰 목소리 – 파동이 높다. – 진폭이 크다.

작은 목소리 – 파동이 낮다. – 진폭이 작다.

높은 목소리 – 파동의 폭이 좁다 – 진동수(주파수;Hz)가 높다 – 짧은 주기(T)

낮은 목소리 – 파동의 폭이 넓다 – 진동수(주파수)가 낮다 – 긴 주기

[2] 사람의 듣는 주파수 20Hz~20000Hz 정도까지 들린다? (50p)

[3] 기본주파수 – 각각의 진동수를 갖는 파동의 합쳐졌을 때, 그 안에 포함된 가장 커다란 파동의 주파수

A(2Hz), B(4Hz), C(6Hz), D(8Hz) => 2Hz가 기본주파수가 된다.

[4] 이론상 2n개의 좌표를 알면 n개의 진동을 수할 수 있다. – 178p

[5] 어떠한 파동을 나눌때 그 구간이 달라지면,(ABCABC 이런 파동일때 ABC를 한구간으로 보느냐, BCA를 하구간으로 보느냐) 푸리에 계수값이 변한다.( 179p)

    \begin{align*} d_n=\sqrt{a_n^2+b_n^2} \end{align*}

그러나 위 처럼 구한 벡터의 크기(진폭)은 거의 맞아 떨어지게 된다.

(5) 푸리에 계수

    \begin{align*} a_0&=\frac{1}{T}\int_{0}^{T}f(t)dt \\ a_n&=\frac{2}{T}\int_{0}^{T}f(t)\cos(nwt)dt \\ b_n&=\frac{2}{T}\int_{0}^{T}f(t)\sin(nwt)dt \end{align*}

[6] 인간의 인지는 로그 함수와 같다.
110Hz의 한옥타브 높은 주파수는 220Hz, 그 다음 한 옥타프 높은 주파수는 440Hz

[7] 큰 목소리와 작은 목소리의 경우 각 formant의 절대값은 달라지나 비율은 유지된다.

[8] 오일러 공식(이해가 어려운 파트)

(1)   \begin{equation*} C(x) &= \cos(x) + i\cdot\sin(x) \end{equation*}

(2)   \begin{equation*} f(x) &= e^{ix} \end{equation*}

(3)   \begin{equation*} f(x) = a_0 + a_1x + a_2x^2 + a_3x^3 + \cdots \end{equation*}

(4)   \begin{equation*} f(x) = \sum\limits_{n=0}^\infty \frac{1}{n!}f^{(n)}(0)x^n \end{equation*}

(5)   \begin{align*} e^{ix} &= \cos(x) + i\cdot\sin(x) \\ e^{-ix} &= \cos(x) - i\cdot\sin(x) \end{align*}

(1): 가우스 평면(복소수 좌표)에서 원을 그리는 함수
(2): 4차 미분시 원래의 f(x) = e^{ix}가 되는 함수
(3)의 공식을 미분을 이용하여 계수를 구하여 풀어내면 (3)의 식이 되는데, 이것을 매클로린 전개공식 이라고 한다.
(1)와 (2)의 식을 매클로린 전개하면 같은 값(계수)이 나온다.
(5)가 오일러의 공식이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공식을 알 필요는 없을 듯 하나, 직접 푸리에 계수를 전개할 필요는 없으니
다만 FFT 함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려나.

[9] 비주기 파동의 분석

    \begin{equation*} \Delta f = \frac{1}{T} \end{equation*}

기본 주파수 f 는 주기(T)에 반비례 한다.
이 때, 비주기 파동의 경우 주기가 무한히 길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begin{equation*} \Delta f = \frac{1}{\infty} \end{equation*}

즉, 한 주기를 돌 때 무한한 시간이 걸린다면, 그 주파수는 0에 가까워 지는 것이다.
기본 주파수에 0에 가까워 진다면, spectrogram에서 각 주파수(기본 주파수의 n배가 되는 주파수들)의 간격이 점점 가까워져서 전체적인 윤곽을 보는 양상이 될 것이다.
책의 페이지 498~511까지는 이 비주기 파동의 분석을 위해 오일러 공식을 이용해서 풀어나가는데, 이해하기 쉽지 않다.
결론의 512페이지에 있는데,

즉, 비주기 파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찰시간’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짧은 시간 (\Delta t)의 관찰을 통해 전체적인 주파수의 특징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재미있는 특징이 관찰되는데, (\Delta t)가 커질 수록 (\Delta f) 가 작아지게 된다.

책에서 예를 든 공식은 f(t) = 1 이라는 함수(즉 어느 시간에도 주파수가 1), G(f) (푸리에 변환된 함수;이 때에 f(0)(기본주파수)만 값이 있는 직선 함수가 나온다). 이를 푸리에 변환시키면 이상적으로는 직선이 나와야 하나, 일종의 파동 그래프 처럼 나온다. f(0)에 \Delta f 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 것이 ‘불확정성’이라고 이야기 하게 된다.
즉 (\Delta t)가 커질 수록 (\Delta f)는 작아지고, 그 반대가 성립하는 양자역학의 범위까지 넘어가게 된다.

[10] FFT
Nyquist-Shannon sampling theorem 이랑 같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찌되었든, 어떠한 주파수까지(예:0~4000Hz)까지 분석하고 싶으 파형이 있다면, 그 파형(아날로그)의 점들(디지털값)이 그의 2배인 8000개가 필요하다.
보통 음성분석에서는 20-40 msec을 한 프레임으로 잡는 듯 한데(왜인지는 여전히 검색중) 40msec으로 한다면 320개의 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이다.

어떤 논문에서 따온 표이다. 보면 32msec동안 256샘플을 썼다는 이야기는, 1초로 보면 8000개의 포인트 즉 4000Hz까지 분석하겠다는 이야기가 된다.

40msec으로 돌아가서, 이 경우 320개의 점이 찍혀있고, 이 시간동안 160개의 진동하는 주파수들을 분석한다면,
사람이 실제로 그 그래프를 직접 적분한다면 320×160=51200의 곱셉이 필요하게 된다.(고한다;;)
그러나 실제 계산에서 보면 e^{ix} &= \cos(x) + i\cdot\sin(x) 함수는 회전함수이기 때문에 이 오일러 공식으로 나온 푸리에 계수 구하는 공식은 그 계수값이 공통되어 곱셈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세부내용은 생략해도 될 것 같다.

그래서 음성 분석시 4000Hz라 한 frame(40mesc)에 320개의 점이라고 할 때, 실제로는 512나 1024 (2^n)개의 숫자로 FFT를 돌리는 것이 더 빠르다고 한다.

0 Share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