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고서적 : 만화로 함께 배우는 푸리에 해석, 성인당
<기초지식 1>

진동을 원으로 표현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의
,
를 따로 나타내보면

와
의 관계는 위의 그림처럼 나타낼 수 있고,
와
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기초지식 2>


삼각함수의 미분은
를 과장하여 확대했을때 그려지는 삼각형을 이용해서 구하면 된다. 반지름 1의 원을 기준으로 하면,
인데,
를 각으로 갖는 작은 삼각형의 빗변이
인 것은 반지름의 1인 삼각형에서
라디안 값을 갖는 원호(arc)의 길이는 똑같은
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 그림에서 원호가 아닌 삼각형으로 나타낸 것은 미분 유도를 위해
를 과장해서 표현했기 때문이다. (
는 사실 접선의 기울기! = 각속도(
))
![Rendered by QuickLaTeX.com \begin{align*} \int_0^\pi sin(x) dx= [-cos(x)]_0^\pi &= - ( cos(\pi) - cos(0)) = -(-1-1) = 2 \\ \sin(x)\cdot\cos(x) &= \frac{1}{2}\cdot\sin(2x) \end{align*}](https://junn.net/wp-content/ql-cache/quicklatex.com-de1d8942f62f375c64ef85b4375a2164_l3.png)
요런 함수들을 알면 좋다.
<기초지식3>
직교 상태라는 것은 벡터에서 내적이 0이라는 것으로, 두 벡터의 사이각이
이라는 이야기다. 직교 상태의 벡터의 내적은 항상 0인데, 즉 직교 상태의 함수의 곱의 정적분도 항상 0이 된다.
이 부분에서 정적분을 이야기 할 때에 그 범위는 0에서
까지를 이야기 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에서 n이 무엇이든지 간에 기준 주기를
의 주기로 의식하게 되어 0에서
를 단순 대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때,
는
와 항상 직교한다.
일 때,
는
와 항상 직교한다.
(증명은 생략, 삼각함수의 곱의 적분 공식 이용)
또한
의 정적분도 항상 0이 된다.
<기초 지식4>
![]()
위 함수에서
는 진폭,
는 주기를 나타낸다.

를 위상이라고 하는데 위 그래프의 경우
라고 나타낼 수 있지만, 푸리에 해석을 위해서는
로 구한다. 두 함수는 위에 서술한 바와 같이 직교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다른 방식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를 만족하는
값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공식을 통해 변수
를 바꿈으로써, 주기는 변동하지 않으면서 진폭과 위상을 바꿀 수 있다.
진폭의 경우 벡터의 크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